RWA코인 시리즈④ 주요 RWA 프로젝트 비교 분석: Ondo/Maple/Polymesh

2025. 4. 29. 10:18블록체인과 코인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 오늘은 RWA 프로젝트 중 특히 많이 언급되는 Ondo Finance, Maple Finance, Polymesh 세 가지를 한눈에 비교해볼게요. 저도 처음에 RWA에 관심 생겼을 때, 도대체 뭐가 다르고 어디에 투자해야 할지 감이 안 오더라고요. 그래서 저처럼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오늘도 코인 공부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주요 RWA 프로젝트 비교분석: Ondo / Maple / Polymesh (RWA 시리즈 ④)

 

🧭 먼저, 세 프로젝트를 간단히 표로 소개합니다.

               프로젝트                                          핵심 키워드                                실물 자산 유형                     주요 대상
Ondo Finance 국채 기반 수익, 거버넌스 토큰 미국 국채, MMF 일반·기관 투자자
Maple Finance 기업 대출, 실물 수익 채권 실물 대출 채권 기관 중심
Polymesh 규제 중심 보안형 자산 토큰화 주식, 채권, 펀드 증권사, 투자회사

 


Ondo Finance

📌 1. Ondo Finance – 가장 대중적인 RWA 코인

  • ✅ 미국 국채나 MMF를 토큰화 → OUSG, OMMF, USDY 같은 상품 구성
  • ✅ 안정적인 수익 + 스테이킹/디파이 연계 가능
  •  ONDO 토큰은 생태계 운영에 참여하는 거버넌스 역할

📊 특징 요약

  • ✔ 실물 국채 기반이라 안정성 높음
  • ✔ 블랙록, 코인베이스 등 기관 파트너 다수
  • ✔ 개인 투자자 접근성 매우 좋음 (소액도 가능)

💡 적합한 투자자: 디파이 초보, 금리 수익 추구자, 리스크 낮은 투자 선호자

 


Maple Finance

📌 2. Maple Finance – 실물 기반 기업 대출에 집중

  • ✅ 기관 투자자들이 참여해, 실제 기업에 암호화폐 대출을 제공
  • ✅ 대출은 온체인으로 실행되며, 실제 수익이 발생 → 투자자와 수익 공유
  • ✅ 최근에는 **RWA 풀(Pool)**을 따로 만들어, 오프체인 자산 기반 상품도 출시

📊 특징 요약

  • ✔ 탈중앙화된 기업 대출 플랫폼
  • ✔ 대출 채권 기반 수익 = 현실적 인컴 모델
  • ✔ 신용 기반이라 리스크 평가 중요

💡 적합한 투자자: 고급 투자자, 디파이 경험자, 실물 수익형 자산에 관심 많은 분

 


Polymesh

📌 3. Polymesh – 보안형 증권 토큰에 특화된 RWA

  • ✅ 주식, 채권, ETF 등 ‘규제 대상’ 자산의 토큰화에 집중
  • ✅ 기존 증권 시장과 호환되는 법적 프레임워크 구축
  •  POLYX 토큰은 네트워크 수수료, 보안 검증 등에 사용

📊 특징 요약

  • ✔ 규제 준수를 전제로 설계된 전문적 블록체인
  • ✔ 기관 중심, 법적 안정성 확보
  • ✔ 일반 투자자가 직접 사용하기엔 접근이 어려울 수 있음

💡 적합한 투자자: 장기적 제도권 진입 기대자, 기관 중심 투자 모델 선호자


📊 세 프로젝트 요약 비교

          항목                                   Ondo                                           Maple                                 Polymesh
자산 유형 국채, MMF 대출 채권 증권(주식, 채권 등)
주요 타깃 일반 + 기관 기관 중심 증권사, 정부, 기관
투자 난이도 쉬움 중간~높음 중간~높음
수익 모델 금리 수익 + 스테이킹 대출 이자 수익 거래 수수료, 보안 서비스
리스크 낮음 기업 부도 리스크 규제 변화 리스크

🔍 개인적으로 정리해본 장단점 

  • Ondo는 진입장벽이 낮아서 저 같은 일반 투자자가 RWA를 접하기에 정말 좋아요. 국채 기반이라 수익은 크지 않아도 심리적 안정감이 크기 때문입니다.
  • Maple은 조금 공부가 필요한 분야예요. 수익률은 높지만, 대출 기업의 신용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리서치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Polymesh는 제도권 진입을 겨냥한 느낌이 강해서, 저는 직접 투자보다는 "지켜보는 중"입니다. 제도화될수록 더 성장할 가능성이 있겠지만요.

📈 투자 포인트 요약

| 유형별 추천 |  

| 안정적인 수익 | Ondo Finance (OUSG, USDY) |

| 중수익 고위험 도전 | Maple Finance |

| 장기 제도권 베팅 | Polymesh |


✅ 마무리 요약

  • RWA 프로젝트마다 접근 대상, 자산 유형, 리스크가 달라요
  • Ondo는 입문자용, Maple은 적극적 투자자용, Polymesh는 미래 가치형
  • 2025년 이후 RWA 시장이 제도화될수록, 이들 프로젝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

📘 다음 편 예고!

시리즈 다음 편에서는
👉 RWA 기반 디파이 플랫폼 순위,
👉 수익률 비교와 리스크 분석,
👉 2025년 유망 신규 RWA 코인들까지 소개해드릴게요 :)

 

댓글로 더 궁금한 RWA 코인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
흥미로우셨다면 구독해주세요. 다음 편도 곧 이어집니다. 😄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