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6. 18:32ㆍ블록체인과 코인
안녕하세요 :) 블랙록 코인으로 대표적인 RWA(실물 자산 기반 코인) 프로젝트 중 *‘Ondo Finance(온도 파이낸스)’*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저는 금융보험학을 전공해서 그런지,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이 만나는 지점이 참 흥미롭게 느껴지거든요.
Ondo는 바로 그 접점에서 탄생한 프로젝트예요. 실물 채권이나 국채, MBS(모기지 담보 증권) 같은 자산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하죠.
✅ 실물 자산 토큰화 대표주자, Ondo Finance 완전 정리 (RWA 코인 시리즈 ①)
🔍 Ondo Finance란?
Ondo Finance는 전통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상에 토큰화해서 투자자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RWA 기반 프로젝트입니다.
쉽게 말하면, 국채나 채권 같은 자산을 ‘토큰’으로 만들어 블록체인에서 사고팔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예요.
- 설립자: Nathan Allman (前 골드만삭스 출신)
- 본사: 뉴욕
- 주요 제품: OUSG (미국 국채 기반 스테이블 수익 토큰), OMMF (머니마켓펀드 기반) 등
Ondo Finance는 기존 금융 시스템의 장점과 디파이의 개방성을 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고,
덕분에 블랙록, 코인베이스 등 굵직한 파트너들과의 협력도 활발합니다.
💡 Ondo의 핵심 제품 3가지
1. OUSG (Ondo Short-Term U.S. Government Bond Fund)
- 미국 단기 국채에 투자한 수익을 기반으로 한 토큰
- 투자자는 암호화폐(예: USDC)를 입금하면 OUSG 토큰을 받음
- 실물 국채에 투자해서 매일 이자를 받음
- 실질적인 “국채 기반 스테이블코인” 역할
2. OMMF (Money Market Fund Token)
- 미국 머니마켓펀드(MMF)를 토큰화한 상품
- 변동성은 낮고, 연 4~5% 수준의 안정적 수익률 추구
3. USDY (Yield Dollar)
- 금리 수익이 발생하는 ‘고정 수익형 스테이블 코인’
- 실물 자산(국채)을 담보로, 예치만 해도 이자가 붙는 구조
➡️ 이 상품들을 통해, 투자자는 국채에 간접 투자하면서도 유동성 높은 토큰을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 Ondo 토큰(ONDO)의 역할은?
ONDO는 Ondo Finance 생태계의 거버넌스 토큰이에요.
즉, 플랫폼 운영 정책 결정, 수익 분배, 새로운 상품 출시 등에 대한 투표권 및 참여 권한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ONDO 자체를 담보로 삼아 디파이 대출에 활용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어요.
(예: Ondo staking → 담보 대출 → DeFi 연동)
2024년 한 해 동안 ONDO 토큰은 무려 380% 이상 가격 상승을 기록했어요.
이는 기관 투자자들의 참여와 RWA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결합된 결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온도 파이낸스, 마스터카드와 협력… RWA 토큰화 본격 도입 < e-trend 뉴스 < 기사본문 - 중앙이코노미뉴스
📈 Ondo Finance가 주목받는 이유
✅ 1.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연결고리
- Ondo는 실제 미국 국채를 기반으로 상품을 구성하기 때문에, **‘실질 담보 기반’**이라는 점에서 신뢰성이 커요.
- 이것이 다른 디파이 프로젝트와 큰 차별점이에요.
✅ 2. 기관 투자자 유입
- 블랙록, 코인베이스 벤처스 등 전통 금융권 자본이 대거 유입되고 있음
- 이는 온체인 채권 투자 시장 확대의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어요.
✅ 3.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
- Ondo는 단순히 시세차익에 의존하는 프로젝트가 아니에요.
- 국채 이자, MMF 수익 등 지속 가능한 인컴(income) 기반이 있다는 점이 큰 강점!
🤔 투자 전 참고할 점
Ondo Finance가 가진 장점은 분명하지만, 투자 전에는 다음과 같은 리스크도 꼭 염두에 두셔야 해요.
- 아직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가 명확하게 RWA 토큰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지 않았어요. → 규제 리스크가 존재
- 국채 기반 상품은 안정적이지만, 단기 급등을 기대하긴 어려움
- 스마트 계약 해킹, 운용 실패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그래서 저는 ONDO를 장기적 관점에서, 포트폴리오의 안정적인 축으로 고려하고 있어요.
특히 요즘처럼 시장이 변동성 클 때는, 이런 프로젝트가 오히려 마음이 편하더라고요.
✅ 마무리 요약
- Ondo Finance는 실물 자산(RWA)을 블록체인과 연결한 대표 프로젝트
- 국채, MMF 기반 토큰으로 안정적인 수익형 상품을 제공
- ONDO는 생태계 내 거버넌스 및 디파이 연계 활용 가능
- 기관 투자 유입과 규제 정비에 따라 2025년 이후 성장 가능성 매우 높음
다음 편 예고 🎯
이어서 다룰 RWA코인 후속 콘텐츠는 이렇답니다.
- 🟡 PAXG (금 기반 RWA 코인 완전 정리)
- 🔵 RWA와 디파이의 결합: 예치, 대출, 이자 전략까지
- 🟢 주요 RWA 프로젝트 비교 분석 (Ondo vs Maple vs Polymesh)
궁금하신 주제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시지로 알려주세요. 저도 여러분과 함께 공부해보고 싶어요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을 부탁드릴게요. 투자에 도움될 글로 찾아뵐게요!
'블록체인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WA코인 시리즈③ 실물자산과 디파이의 만남: RWA+DeFi가 바꾸는 암호화폐 투자방식 (5) | 2025.04.28 |
---|---|
RWA코인 시리즈② 실물 금 기반 암호화폐, 'PAX Gold(PAXG)' 완전 분석 (2) | 2025.04.27 |
2025.11.25, ISO 20022 적용이 가져올 전세계 금융 시장의 변화 (6) | 2025.04.25 |
리플 XRP와 스위프트 ISO 20022: 글로벌 금융 혁신 속 XRP 가격은 어떻게 될까? (0) | 2025.04.24 |
달러 인덱스, 금, 비트코인, 알트코인 – 상관관계 및 경제 흐름 읽기 (2)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