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7. 19:28ㆍ블록체인과 코인
안녕하세요 :) 오늘은 실물 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RWA 토큰이지만, 국내에서는 많이 모르고 계신 PAX Gold (PAXG)*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요즘처럼 경제가 불안정하고,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는 시기에는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여기는 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잖아요? 그런데 이제는 금도 블록체인 위에서 소유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답니다.
✅ 실물 금 기반 암호화폐, 'PAX Gold(PAXG)' 완전 분석 (RWA 코인 시리즈 ②)
💡 PAX Gold(PAXG)란?
*PAX Gold(PAXG)*는 미국의 규제기관에 등록된 핀테크 회사인 Paxos Trust Company가 만든 금(골드) 기반 암호화폐예요.
- 1개의 PAXG 토큰 = 1 트로이 온스(약 31.1g)의 실물 금
- 해당 금은 실제로 런던 금고에 보관돼 있고, Paxos가 이를 보증
- ERC-20 기반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됨
즉, 이 토큰은 실물 금과 1:1로 매핑되는 자산이기 때문에, 코인을 가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진짜 금을 소유한 것이나 마찬가지예요.
✅ 왜 PAXG가 주목받을까?
1. 금의 안정성과 코인의 유동성의 교집합
- 금은 역사적으로 가장 안전한 자산 중 하나예요.
- 그런데 실물 금은 보관이 어렵고 거래도 번거롭잖아요?
- PAXG는 금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블록체인 기반으로 24시간 빠르게 거래할 수 있어요.
2. 스테이블 코인처럼 활용 가능
- 금 가격에 1:1 연동되기 때문에, 디지털 금 스테이블코인처럼 사용할 수 있어요.
-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USDC, USDT)과 비교하면 인플레이션 방어 기능도 갖춰요.
3. 소액 투자 가능
- 금은 kg 단위로 사고파는 자산이지만,
- PAXG는 0.01개 단위로도 거래가 가능해서, 적은 금액으로 금 투자할 수 있어요.
📊 2025년 투자 포인트: 왜 지금 PAXG인가?
요즘은 미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 지속적인 물가 상승 압력,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인해 금값이 다시 상승세예요.
2024년 말에는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최고치인 온스당 $2,300를 돌파했고, 2025년에도 $2,50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어요.
그렇다면?
➡️ PAXG 역시 실물 금 가격에 연동되므로, 가격 상승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어요.
➡️ 특히 다른 코인들이 시장 변동성에 흔들릴 때, PAXG는 안정적인 자산으로 작용해요.
🔐 신뢰성은 어떻게 보장될까?
이건 저도 처음에 제일 궁금했는데요!
- Paxos Trust는 미국 뉴욕금융감독청(NYDFS)의 감독을 받는 신탁회사
- 매월 실물 금 보유 내역과 PAXG 유통량을 감사 보고서로 공개
- 런던 금시장협회(LBMA) 인증을 받은 **고품질 금괴(400oz 단위)**로 보관
즉, 단순히 ‘코인이라고 주장하는 금 토큰’이 아니라, 법적·물리적으로 실물 금으로 뒷받침되는 토큰이에요.
💱 PAXG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단순 보유 = 금 가격 상승 수익 기대
- 금과 동일한 가격으로 움직이므로, 금값 상승 시 그대로 수익 발생
✔ 스테이블 자산 대체
- 코인 시장에서 USDC나 USDT 대신, 디플레이션 방어용 스테이블 자산으로 활용 가능
✔ 담보로 활용
- DeFi 플랫폼에서 PAXG를 담보로 예치 → 대출이 가능
(예: MakerDAO, Aave 등 지원 중)
✔ 금 실물 교환
- Paxos에서 인증된 계좌가 있으면, 실제 금으로도 교환 가능 (일정 수수료 있음)
🤔 PAXG 투자 시 주의할 점
- 금 가격 하락 시 토큰 가치도 하락함
- 수익률이 크지는 않지만, 장기 보유 안정성 위주
- 이더리움 기반이므로, 전송 수수료가 다소 높을 수 있음
✅ 마무리 요약
- PAXG는 실물 금 1:1 기반의 토큰
- 금의 안정성과 블록체인의 유동성을 결합한 대표적인 RWA 코인
- 2025년 금 가격 상승 전망에 따라 PAXG의 투자 가치도 상승 중
- 스테이블 자산 대체, 디파이 담보, 장기 투자용으로 적합함
📘 다음 편 예고!
다음 콘텐츠는 실물 자산과 디파이의 만남!
RWA와 디파이의 결합: 예치, 대출, 수익 창출 전략을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가볼게요 :)
혹시 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다음 편도 기대하며 구독부탁드립니다.
댓글 남겨주시면 꼭 반영해서 같이 공부해봐요 :)
'블록체인과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WA코인 시리즈④ 주요 RWA 프로젝트 비교 분석: Ondo/Maple/Polymesh (4) | 2025.04.29 |
---|---|
RWA코인 시리즈③ 실물자산과 디파이의 만남: RWA+DeFi가 바꾸는 암호화폐 투자방식 (5) | 2025.04.28 |
RWA코인 시리즈① 실물자산 토큰화 대표주자, Ondo Finance 완전 정리 (4) | 2025.04.26 |
2025.11.25, ISO 20022 적용이 가져올 전세계 금융 시장의 변화 (6) | 2025.04.25 |
리플 XRP와 스위프트 ISO 20022: 글로벌 금융 혁신 속 XRP 가격은 어떻게 될까? (0) | 2025.04.24 |